cc-1



    막상 블로그 포스팅을 하려니 제일 걸리는 문제가 "저작권"입니다. 특히 여행장소의 사진이 제일 걸리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먼저 저작권 없는 이미지에 대해 찾아보니 생각보다 많은 방법으로 저작권 없는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작권 없는 이미지"를 찾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1. CCL 조건으로 검색하는 방법

  CCL (Creative Commons License) 은 일정 조건 하에 다른 사람의 자유로운 이용을 허락하는 내용의 자유이용 라이선스(License)를 말합니다. 이 CCL이 "저작권 없는 이미지"를 찾는 핵심 키워드입니다. 아래는 CCL에 따른 이용 조건에 대한 설명입니다.


라이선스이용조건문자표기
by저작자표시
저작자의 이름, 저작물의 제목, 출처 등 저작자에 관한 표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CC BY
by저작자표시-비영리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CC BY-NC
by저작자표시-변경금지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CC BY-ND
by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고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CC BY-SA
by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저작자를 밝히면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의 변경도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2차적 저작물에는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합니다.
CC BY-NC-SA
by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CC BY-NC-ND

<출처 : Creative Commons Korea 홈페이지 http://www.cckorea.org/xe/ccl >


  쉽게 설명하면 다른 사람의 이미지를 블로그에 사용할 때, 이용조건에 따라 출처를 밝히고 추가 조건에 따라서 사용을 하면 됩니다. 

  여기서 블로그에 추가되는 구글 애드센스등의 광고가 영리목적이냐는 부분이 걸리는데, 일반적으로 애드센스 자체만으로는 영리목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기업 블로그라던지 상업리뷰 등의 경우는 해당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 : http://cckorea.org/xe/questions/1454008 )


  기본이 CC BY 에 NC 나 ND등의 조건이 붙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CC BY는 저작자 및 출처를 밝히고 사용하는 조건을 의미하고, 

  ND는 펌사진에 추가로 글자를 넣는다든지 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SA가 조건에 붙어 있다면 원 저작물과 같은 조건으로 CCL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SA가 조건에 없다면 CCL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 참고 : http://letscc.net/cc_guide.php )

 CCL 라이선스 중 가장 강력한 조건은 CC BY-SA-NC-ND 입니다. 이 조건은 출처를 명시하면서 상업적 용도로의 사용을 금지하며, 내용물의 변경이 금지된다는 조건을 말합니다. 이 표기가 된 자료를 이용하고 싶다면 링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일 안전합니다.


2. CC0 (Public Domain) 

  CCL 중에 CC0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퍼블릭 도메인이라고도 부르는 이 조건은 원작자가 자신의 저작권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한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2차 저작 및 상업용도로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 다만, 퍼블릭 도메인으로 풀려 있는 이미지를 본인이 저작한 것이라고 주장할 경우 처벌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남의 사진을 "내가 직접 찍은 사진"이라고 하는 분들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만, 세상이 상식으로 굴러가지 않는 경우를 너무 자주 접하는지라....

CCL 이미지는 아래와 같이 표시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cc-2

[저작자] by netstrolling, flickr (CC BY) 
[이미지출처] http://www.flickr.com/photos/netstrolling/4413228289/ (CC BY)


3. 이미지 검색하기

  CCL과 관련한 얘기는 이정도로 하고, 이제 이 CCL이 적용된 이미지를 검색하는 사이트 몇 군데를 소개하겠습니다.


    • 프리큐레이션 ( http://www.freeqration.com/featured/ ) : 무료사진, 일러스트 들을 한번에 검색해주는 사이트입니다. 검색 결과에서 사진을 선택하면 이용조건이 나옵니다.

    • 렛츠씨씨​ (CCL 전문 검색엔진 : http://letscc.net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Creative Commons Korea, CCK)가 운영하는 검색엔진입니다. CCL이 달린 콘텐츠를 찾아주는 데 특화된 서비스입니다. 검색하기 전에 콘텐츠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건지, 원본 콘텐츠를 수정할 건지 미리 체크하면 용도에 맞는 콘텐츠를 찾아줍니다

    •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미지 검색 페이지에서 ‘도구→사용 권한’ 메뉴로 들어가면 용도별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영리 목적으로 쓰려면 ‘상업적 용도로 재사용 가능’이나 ‘수정 후 상업적 용도로 재사용 가능’을 선택하고, 비영리 목적으로 사용하려면 '재사용 가능'을 선택하면 됩니다.
      cc-3
    • 픽사베이 ( https://pixabay.com/ ) : 퍼블릭도메인 그림을 올리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사진, 그림, 일러스트레이터 등까지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모두 퍼블릭도메인에 속한 것이니 자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제일 상단에 나오는 결과에 제휴업체로 유료이미지 판매 사이트인 셔터스톡에서 찾은 그림도 같이 보여주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합니다.
    • 공유마당 ( https://gongu.copyright.or.kr/gongu/main/main.do ) :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운영하는 공유저작물 포털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는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스톡볼트 ( https://www.stockvault.net/ ) : 비영리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픽사베이와 마찬가지로 상위 검색 결과는 제휴업체의 유료컨텐츠이니 잘 확인해야 합니다.

  

  이정도로 CCL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 포스팅은 본격적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0) 2017.07.31

+ Recent posts